반응형

 

 



청년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자격 요건이 있습니다.

나이, 소득, 가구형태, 금융소득 여부 등 여러 조건을 동시에 따져봐야 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청년 지원 대상에 해당하기 위한 4가지 핵심 요건을 쉽게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나이 요건: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지원대상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신규 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여야 합니다. 단, 군 복무를 이행한 청년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해당 기간을 연령 계산에서 제외할 수 있어요.

 

병역이행 기간이 최대 6년까지 연령에서 차감되므로, 병역을 마친 청년은 실제 만 34세가 넘어도 지원 가능할 수 있습니다.

병적증명서를 통해 병역 이행 기간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시: 만 36세라도 군 복무기간 2년이 있다면 계산상 만 34세로 인정되어 지원 가능!

소득 요건 : 근로 또는 종합소득 기준

소득 기준은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면 됩니다. 자신의 전년도 소득 항목을 기준으로 확인해보세요.

 

1. 근로소득 중심 요건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 7,500만 원 이하
- 단, 근로소득만 있거나, 종합과세되지 않는 기타소득만 있을 때 해당
- 비과세소득(육아휴직급여, 군장병급여 등)만 있는 경우는 제외

 

2. 종합소득 중심 요건
- 종합소득 과세표준에 합산되는 금액이 6,300만 원 이하
- 근로소득이 7,500만 원을 초과하거나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주의사항: 해당 연도의 소득 확정 전이라면, 전전년도 소득으로도 판단 가능합니다.

가구 요건: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 본인의 소득만이 아닌, 가구 단위 소득 수준도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의 25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가구원 수는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등으로 판단 합니다.

 

예를 들어 2인 가구 기준이라면, 기준 중위소득 250% 금액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참고: 매년 중위소득 기준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보건복지부 고시 중위소득표 확인 필수!

금융소득 종합과세 이력

마지막으로 살펴볼 조건은 금융소득 종합과세 이력입니다.

간단히 말해, 일정 수준 이상 금융소득이 있는 고소득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가입일이 속한 해 기준,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라도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었다면 지원 불가

금융소득 종합과세란? : 이자소득 + 배당소득 합계가 연간 2천만 원 초과 시 해당됨

따라서, 3년 내 금융소득이 과세 대상이 아니었다면 조건 충족!

 

청년 지원제도는 많은 혜택이 주어지는 만큼, 자격요건도 정교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나이, 소득, 가구, 금융소득 여부 4가지 조건을 체크하시고, 내가 대상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판단해보세요.

 

복잡해 보여도 하나하나 따져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당 조건을 만족한다면, 청년을 위한 각종 정부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